맨위로가기

2023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3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는 2023년에 진행된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LCK)의 서머 시즌이다. 정규 시즌은 6월 7일부터 8월 6일까지 진행되었으며, 플레이오프는 8월 8일부터 8월 20일까지 열렸다. 경기는 서울 LOL 파크와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었으며, 정규 시즌은 더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플레이오프는 5전 3선승제로 진행되었다. KT 롤스터가 정규 시즌 1위, Gen.G가 2위를 차지했으며, 최종 결승전에서는 KT 롤스터가 우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 2016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016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은 10개 팀이 참가한 LCK의 2016년 스프링 시즌으로, ROX 타이거즈가 정규 시즌 1위, SK텔레콤 T1이 포스트시즌 우승을 차지했으며 OGN은 결승전을 VR 생중계했다.
  •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 2022 LCK 챌린저스 리그 스프링
    2022 LCK 챌린저스 리그 스프링은 LCK 유한회사 주최, 우리은행 후원으로 2022년 1월 10일부터 4월 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DRX가 정규 시즌 1위를, DWG KIA가 최종 우승을 차지한 리그 오브 레전드 챌린저스 리그의 스프링 시즌이다.
2023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리그 정보
리그 이름2023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리그 시작일2023년 6월 7일
리그 종료일2023년 8월 20일
개막전KT VS HLE
주최LCK 유한회사
주관LCK 유한회사
후원사BBQ
OP.GG
몬스터
로지텍
우리은행
OWEN
CGV 등
참가 팀GEN
T1
KT
HLE
DK
LSB
KDF
BRO
DRX
NS
게임 버전13.10 ~ 13.
이전 시즌2023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다음 시즌2024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스프링

2. 일정

정규 시즌은 1라운드와 2라운드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1라운드는 6월 7일부터 7월 7일까지, 2라운드는 7월 7일부터 8월 6일까지 진행되었다. 플레이오프 1라운드는 8월 8일부터 8월 9일까지, 2라운드는 8월 10일부터 8월 11일까지, 3라운드는 8월 12일부터 8월 13일까지, 4라운드는 8월 19일에 진행되었고, 결승은 8월 20일에 진행되었다.

2. 1. 정규 시즌

2023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정규 시즌은 1라운드와 2라운드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1라운드는 6월 7일부터 7월 7일까지, 2라운드는 7월 7일부터 8월 6일까지 진행되었다.

2. 2. 플레이오프

3. 경기장

정규 시즌 경기는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위치한 LOL 파크에서 진행되었다. 파이널 경기는 대전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었다.

4. 진행 방식

정규 시즌은 더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되며, 각 팀은 총 18경기를 3판 2선승제로 치른다. 정규 시즌 1, 2위 팀은 '''플레이오프 2라운드'''에 직행하고, 3위부터 6위 팀은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 진출한다. 7위부터 10위 팀은 '''최종 탈락'''한다.

플레이오프는 5전 3선승제로 진행된다.


  • '''플레이오프 1라운드'''
  • 정규 시즌 3~6위가 맞붙는다. 정규 3위가 상대할 팀을 선택한다. 정규 4위는 자동적으로 상대가 결정된다. 승자는 '''플레이오프 2라운드'''에 진출, 패자는 '''최종 탈락'''한다.

  • '''플레이오프 2라운드'''
  • 정규 시즌 1, 2위와 플레이오프 1라운드 승자가 맞붙는다. 정규 1위가 상대할 팀을 선택한다. 정규 2위는 자동적으로 상대가 결정된다. 승자는 '''승자전''', 패자는 '''패자전'''에 진출한다.

  • '''플레이오프 3라운드'''
  • '''승자전''': 플레이오프 2라운드 승자가 맞붙는다. 승자가 '''파이널''', 패자는 '''패자전'''에 진출한다.
  • '''패자전''': 플레이오프 2라운드 패자가 맞붙는다. 승자가 '''최종전'''에 진출한다.

  • '''플레이오프 4라운드'''
  • '''최종전''': 승자전 패자와 패자전 승자가 맞붙는다. 승자가 '''파이널'''에 진출한다.
  • '''파이널'''

4. 1. 정규 시즌

2023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 서머 정규 시즌은 더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진행되며, 각 팀은 총 18경기를 3판 2선승제로 치른다. 정규 시즌 1, 2위 팀은 플레이오프 2라운드에 직행하고, 3위부터 6위 팀은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 진출한다. 7위부터 10위 팀은 탈락한다.

정규 시즌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순위세트 득실득실차연속결과비고
1KT 롤스터13127-5+2212승플레이오프 2R
2Gen.G13126-5+211패1R 전승
3한화생명 e스포츠9521-12+93승플레이오프 1R
4Dplus KIA9520-12+81승
5T17716-16+03패T1부터는
6광동 프릭스41010-20-106패
7리브 샌드박스41010-21-111승플레이오프 진출 실패
8OK저축은행 브리온41012-24-121승
9농심 레드포스41010-23-132승
10DRX31110-24-145패


4. 2. 플레이오프

5. 참가팀

Gen.G(GEN)[1], T1(T1)[2], KT 롤스터(KT), 한화생명 e스포츠(HLE), Dplus KIA(DK), 리브 샌드박스(LSB), 광동 프릭스(KDF), OK저축은행 브리온(BRO)[3], DRX(DRX), 농심 레드포스(NS)가 참가한다.

6. 선수 명단



리브 샌드박스는 테디(Teddy)를 영입하고, 이명준(Envyy)과의 계약을 해지했다.

농심은 안현서(Quad)를 영입했다.

한화생명e스포츠는 클리드의 성폭력 논란으로 인해, 그리즐리(Grizzly)를 콜업했다.

DRX는 덕담(Deokdam)을 로스터에서 제외하고, 파덕(Paduck), 키아후(Kyeahoo)를 콜업했다.

T1은 벵기 감독을 해임했다.

7. 정규 시즌 순위

순위세트 득실득실차연속결과비고
1KT 롤스터13127-5+2212승플레이오프 2R
2Gen.G13126-5+211패1R 전승
3한화생명 e스포츠9521-12+93승플레이오프 1R
4Dplus KIA9520-12+81승
5T17716-16+03패T1부터는
6광동 프릭스41010-20-106패
7리브 샌드박스41010-21-111승플레이오프 진출 실패
8OK저축은행 브리온41012-24-121승
9농심 레드포스41010-23-132승
10DRX31110-24-145패


8. 경기 결과

8. 1. 1주차

경기BLUE 진영RED 진영결과비고
1경기KTHLE2-1개막전
2경기DKLSB2-0LSB Teddy 복귀전
3경기KDFDRX2-01주차 최고의 경기
4경기BRONS1-2NS Quad 복귀전
5경기KTGEN1-2KT Aiming 스태틱 퍼즈 사건
6경기T1HLE2-1
7경기LSBNS2-0
8경기KDFBRO2-0
9경기DRXDK1-2
10경기GENT12-1GEN Peyz 펜타킬 (3세트/제리)



정규시즌 1경기 2세트에서 KT Lehends가 밀리오를 LCK 최초로 사용하였으나, HLE Life에게 패배하였다. 같은 경기에서 KT Kiin은 케일을 342일 만에 꺼내들었으나, HLE Kingen에게 패배하였다. 정규시즌 8경기 1세트에서는 BRO Umti가 LCK 통산 400전 출전(포지션: 정글)을 기록하였다. 정규시즌 9경기 1세트에서 DK Deft는 LCK 통산 2번째 700전 출전(포지션: 원딜)을 달성하였다. 같은 경기에서 DK는 DRX를 상대로 2023 LCK 서머 최단경기(21분 44초) 승리를 기록하였다. 또한, DK Canyon은 2,962일 만에 정글 사이온을 꺼내 DRX Croco를 상대로 승리하였다. DRX Croco는 9경기 2세트에서 2,938일 만에 정글 노틸러스를 꺼내 DK Canyon을 상대로 승리하였다. 9경기 3세트에서 DK ShowMaker는 LCK 통산 2,500 어시스트(포지션: 미드)를 달성하였다. 정규시즌 10경기 1세트에서 T1 Oner는 1,058일 만에 정글 잭스를 꺼내들었으나 GEN Peaut에게 패배하였다. 같은 경기에서 GEN Chovy는 미드 니코를 1,058일 만에 꺼내 T1 Faker를 상대로 승리하였다. 10경기 3세트에서 GEN Peyz는 2023 LCK 서머 첫 펜타킬(챔피언: 제리, 포지션: 원딜)을 달성하였다. 같은 경기에서 T1 Zeus는 LCK 통산 500킬(포지션: 탑)을 달성하였다.

8. 2. 2주차

2주차에는 총 10경기가 진행되었다. 한화생명e스포츠(HLE)가 DRX를 2:0으로, 젠지(GEN)가 광동 프릭스(KDF)를 2:0으로 이겼다. T1은 리브 샌드박스(LSB)를 2:0으로 이겼고, 디플러스 기아(DK)는 브리온(BRO)에게 1:2로 패배했지만, 농심 레드포스(NS)를 2:0으로 이기며 복귀전을 치렀다. KT 롤스터(KT)는 DRX와 리브 샌드박스를 각각 2:0으로 꺾었다. 브리온은 T1에게 0:2로 패배했다.

몇몇 주목할 만한 기록도 나왔다. 12경기 1세트에서는 광동 프릭스의 '태윤'이 332일 만에 미스포츈을 꺼내들었지만 젠지의 '페이즈'에게 패배했다. 13경기 2세트에서는 T1의 '구마유시'가 291일 만에 닐라를 선택하여 리브 샌드박스의 '테디'를 상대로 승리했다. 14경기 1세트에서는 디플러스 기아의 '칸나'가 LCK 통산 1,500 어시스트를 달성했다. 15경기 3세트에서는 농심 레드포스의 '피터'가 483일 만에 서포터 모르가나를 꺼내들었지만 젠지의 '딜라이트'에게 패배했다. 17경기 2세트는 44분 57초로 2023 LCK 서머 최장 경기 기록을 세웠으며, 광동 프릭스가 한화생명e스포츠에게 패배했다. 20경기 1세트에서는 디플러스 기아의 '캐니언'이 LCK 최초로 정글 니코를 선보여 농심 레드포스의 '실비'를 상대로 승리했다.

8. 3. 3주차

3주차에는 총 10경기가 진행되었다. 리브 샌드박스는 브리온을 상대로 2-1 승리를 거두었고, 광동 프릭스는 T1에게 0-2로 패배했다. 젠지는 DRX를 2-0으로 꺾었고, KT 롤스터는 디플러스 기아에 2-0 승리를 거두었다. 광동 프릭스는 농심 레드포스를 2-0으로 이겼고, 한화생명e스포츠는 리브 샌드박스에 2-1로 승리하며, 3세트에서 HLE Viper가 제리로 펜타킬을 기록했다.

스페셜 매치로 진행된 27경기에서는 젠지가 디플러스 기아를 2-1로 꺾으며 3주차 최고의 경기로 선정되었다. T1은 KT 롤스터에게 0-2로 패배했고, 농심 레드포스는 DRX에 1-2로 졌다. 브리온은 한화생명e스포츠에 0-2로 패배했다.

22경기 1세트에서 T1 FakerLCK 최초로 통산 4,500 어시스트를 달성했다. 같은 경기에서 광동 프릭스의 Bulldog은 미드 이즈리얼을 픽하며 2,680일 만에 등장시켰으나 패배했다. 24경기 1세트에서는 KT 롤스터의 Kiin이 퀸을 854일 만에 등장시켜 승리했다. 26경기 1세트에서는 리브 샌드박스의 Teddy가 원딜 칼리스타를 306일 만에 픽했으나 패배했다. 28경기 2세트에서 KT Aiming은 LCK 통산 200승을 달성했다. 29경기 1세트에서 NS Peter는 LCK 통산 500 어시스트를 달성했고, 같은 경기에서 DRX Rascal은 탑 볼리베어를 464일 만에 등장시켰으나 패배했다. 30경기 1세트에서는 브리온 Umti가 렉사이를 464일 만에 등장시켰으나 패배했다.

8. 4. 4주차

4주차에는 총 10경기가 진행되었다.

4주차 경기 결과
경기BLUE 팀RED 팀결과비고
31경기HLEDK0-2
32경기KTKDF2-0
33경기GENBRO2-01세트 GEN Doran 스태틱 퍼즈 사건
34경기DRXLSB2-14주차 최고의 경기
35경기KTNS2-0
36경기T1DK2-0
37경기BRODRX2-1
38경기LSBKDF0-2
39경기GENHLE2-0
40경기NST11-2



31경기 1세트에서는 DK의 Canyon이 1,230일 만에 정글 아이번을 픽하여 승리했다. 같은 경기 2세트에서 HLE의 Kingen과 Viper는 각각 LCK 통산 300전 출전을 기록했고, DK의 Kellin은 LCK 통산 2,500 어시스트를 달성했다.

33경기 1세트는 45분 15초로 2023 LCK 서머 최장 경기 시간을 기록했으며, BRO가 패배하고 GEN이 승리했다. 같은 경기 2세트에서 GEN의 Chovy는 LCK 통산 10번째 500전 출전, Doran은 LCK 통산 2,000 어시스트를 달성했다.

34경기 3세트에서 LSB의 Clozer는 LCK 통산 500킬을 달성했고, DRX의 Beryh는 LCK 통산 12번째 3,000 어시스트를 달성했다. 35경기 2세트에서 KT의 Cuzz는 LCK 통산 23번째 1,000킬을 달성했다.

37경기 1세트에서 BRO의 Umti는 LCK 통산 2,000 어시스트를 달성했고, 318일 만에 스카너를 픽하여 승리했다. 같은 경기 2세트에서 DRX의 Beryh는 LCK 통산 400전 출전을 기록했다. 3세트에서는 2023 LCK 최소 킬 경기인 8킬(8:0)이 나왔으며, BRO가 승리했다.

38경기 1세트에서는 LSB의 Clozer가 469일 만에 미드 카이사를 픽했으나 패배했다. 2세트에서는 2023 LCK 최다 킬 경기인 54킬(25:29)이 나왔으며, KDF가 승리했다.

39경기 2세트에서 GEN의 Peanut은 LCK 통산 4번째 600전 출전을 기록했다. 40경기 1세트에서 T1의 Zeus는 LCK 통산 1,000 어시스트를 달성했다.

8. 5. 5주차

5주차에는 총 10경기가 진행되었다. 41경기 2세트에서 DK의 ShowMaker가 트리스티나로 펜타킬을 달성했다. 44경기 1세트에서는 GEN의 Peyz가 카이사로 펜타킬을 달성했다. KT의 Aiming은 45경기 1세트에서 LCK 통산 12번째 1,500킬을 달성했다. 46경기 2세트에서는 DK의 ShowMaker와 Deft가 각각 LCK 통산 13번째 1,500킬과 2번째 2,500킬을 달성했다. 50경기 1세트에서는 HLE의 Viper와 Zeka가 각각 LCK 통산 24번째 1,000킬과 500킬을 달성했다.

T1은 Faker가 손목 부상으로 휴가를 떠나면서 DRX와의 42경기에서 0:2로 패배했고, 스페셜 매치로 진행된 47경기에서도 GEN에게 0:2로 패배하며 어려운 시기를 겪었다. GEN의 Peanut은 코로나19 확진으로 인해 44경기에서 온라인으로 참가했다.

경기BLUE 팀RED 팀결과비고
41경기KDFDK0-2DK ShowMaker 펜타킬 (2세트/트리스티나)
42경기DRXT12-0Faker 손목 부상으로 휴가
43경기NSHLE0-2
44경기LSBGEN0-2GEN Peyz 펜타킬 (1세트/카이사)
45경기BROKT0-2
46경기DKDRX2-0
47경기T1GEN0-2
48경기NSLSB2-0
49경기KTBRO2-0
50경기KDFHLE0-2


8. 6. 6주차

6주차에는 총 10경기가 진행되었다. LSB는 51경기에서 DK에게 0:2로 패배하였고, 57경기에서는 KDF를 2:0으로 이겼다. 52경기에서는 GEN이 NS를 2:0으로 이겼다. 53경기에서는 KT가 HLE를 상대로 2:1 승리를 거두며 17연승 행진을 마무리했다. 54경기에서는 BRO가 KDF를 2:1로 이겼다. 55경기에서는 T1이 NS에게 2:0으로 승리했다. 56경기에서는 GEN이 DRX를 2:0으로 이겼다. 58경기에서는 HLE가 BRO를 2:1로 이겼다. 59경기에서는 DK가 T1을 2:0으로 이겼다. 60경기에서는 KT가 DRX를 2:1로 이겼다.

51경기 1세트에서 LSB Willer는 LCK 통산 500 어시스트를 달성했다. 같은 경기에서 DK Canna는 509일 만에 탑 럼블을 픽하여 승리했다. 54경기 1세트에서는 KDF Bulldog이 1,428일 만에 제라스를 선택했지만 패배했다. 55경기 2세트에서는 NS DnDn이 1,940일 만에 탑 트런들을 꺼냈지만 T1 Zeus에게 패배했다. 56경기 1세트에서는 DRX Beryh가 736일 만에 서포터 마오카이를 선택했지만 패배했다. 59경기 2세트에서 DK Canyon은 LCK 통산 13번째로 3,000 어시스트를 달성했다. 60경기 1세트에서는 KT Kiin이 LCK 통산 2,500 어시스트를 달성했다.

8. 7. 7주차

7주차에는 총 10경기가 치러졌다. 61경기에서는 DK가 KT에게 0:2로 패배했고, 62경기에서는 LSB가 HLE에게 0:2로 패배했다. 63경기에서는 KDF가 GEN에게 0:2로 패배했다. 64경기에서는 DRX가 NS에게 1:2로 패배하며 7주차 최고의 경기로 선정되었다. 65경기에서는 BRO가 DK에게 1:2로 패배했다. 66경기에서는 HLE가 T1을 2:0으로 꺾었다. 67경기 스페셜 매치에서는 GEN이 KT에게 0:2로 패배하며 1위 결정전에서 패배, Gen.G의 세트 17연승 행진이 마무리되었다. 68경기에서는 NS가 KDF를 2:1로 꺾고 이번 시즌 최초로 연승을 기록했다. 69경기에서는 T1이 BRO에게 1:2로 패배하며 위기를 맞았다. 70경기에서는 LSB가 DRX를 2:0으로 꺾고, DRX는 위기를 맞게 되었다.

8. 8. 8주차

8. 9. 9주차

9. 플레이오프

9. 1. 1~2라운드

9. 2. 3~4라운드

10. 결승전

11. 최종 순위

12. 기록

12. 1. 선수 기록


  • 정규시즌 1경기 2세트에서 KT의 Lehends는 LCK 최초로 밀리오를 사용했으나, HLE Life를 상대로 패배했다. 같은 경기에서 KT의 Kiin은 342일 만에 케일을 꺼내 HLE Kingen을 상대했으나 패배했다.
  • 정규시즌 8경기 1세트에서 BRO의 Umti는 LCK 통산 400전 출전(정글)을 기록했다.
  • 정규시즌 9경기 1세트에서 DK의 Deft는 LCK 통산 2번째 700전 출전(원딜)을 달성했다. 같은 경기에서 DK와 DRX의 경기는 21분 44초로 2023 LCK 서머 최단시간 경기로 기록되었으며, DRX가 패배하고 DK가 승리했다. 또한, DK의 Canyon은 2,962일 만에 정글 사이온을 사용하여 DRX Croco를 상대로 승리했다.
  • 정규시즌 9경기 2세트에서 DRX Croco는 2,938일 만에 정글 노틸러스를 선택하여 DK Canyon을 상대로 승리했다.
  • 정규시즌 9경기 3세트에서 DK ShowMaker는 LCK 통산 2,500 어시스트(미드)를 달성했다.
  • 정규시즌 10경기 1세트에서 T1 Oner는 1,058일 만에 정글 잭스를 선택했으나, GEN Peaut를 상대로 패배했다. 같은 경기에서 GEN Chovy는 1,058일 만에 미드 니코를 선택하여 T1 Faker를 상대로 승리했다.
  • 정규시즌 10경기 3세트에서 GEN Peyz는 2023 LCK 서머 첫 번째 펜타킬을 제리로 달성했다(원딜). 같은 경기에서 T1 Zeus는 LCK 통산 500킬(탑)을 달성했다.
  • 정규시즌 12경기 1세트에서 KDF Taeyoun은 332일 만에 미스 포츈을 선택했으나, GEN Peyz를 상대로 패배했다.
  • 정규시즌 13경기 2세트에서 T1 Gumayusi는 291일 만에 닐라를 선택하여 LSB Teddy를 상대로 승리했다.
  • 정규시즌 14경기 1세트에서 DK Canna는 LCK 통산 1,500 어시스트(탑)를 달성했다.
  • 정규시즌 15경기 3세트에서 NS Peter는 483일 만에 서포터 모르가나를 선택했으나, GEN Delight를 상대로 패배했다.
  • 정규시즌 17경기 2세트에서 KDF와 HLE의 경기는 44분 57초로 2023 LCK 서머 최장시간 경기로 기록되었으며, KDF가 패배하고 HLE가 승리했다.
  • 정규시즌 20경기 1세트에서 DK Canyon은 LCK 최초로 정글 니코를 선택하여 NS Sylvie를 상대로 승리했다.
  • 정규시즌 22경기 1세트에서 T1 Faker는 LCK 최초로 통산 4,500 어시스트(미드)를 달성했다. 같은 경기에서 KDF Bulldog은 2,680일 만에 미드 이즈리얼을 선택했으나, T1 Faker를 상대로 패배했다.
  • 정규시즌 24경기 1세트에서 KT Kiin은 854일 만에 을 선택하여 DK Canna를 상대로 승리했다.
  • 정규시즌 26경기 1세트에서 LSB Teddy는 306일 만에 원딜 칼리스타를 선택했으나, HLE Viper를 상대로 패배했다.
  • 정규시즌 26경기 3세트에서 HLE Viper는 2023 LCK 서머 두 번째 펜타킬을 제리로 달성했다(원딜).
  • 정규시즌 28경기 2세트에서 KT Aiming은 LCK 통산 200승(원딜)을 달성했다.
  • 정규시즌 29경기 1세트에서 NS Peter는 LCK 통산 500 어시스트(서포터)를 달성했다. 같은 경기에서 DRX Rascal은 464일 만에 볼리베어를 선택했으나, NS DnDn을 상대로 패배했다.
  • 정규시즌 30경기 1세트에서 BRO Umti는 464일 만에 렉사이를 선택했으나, HLE Clid를 상대로 패배했다.
  • 정규시즌 31경기 1세트에서 DK Canyon은 1,230일 만에 정글 아이번을 선택하여 HLE Grizzly를 상대로 승리했다.
  • 정규시즌 31경기 2세트에서 HLE Kingen과 Viper는 각각 LCK 통산 300전 출전(탑, 원딜)을 달성했다. 같은 경기에서 DK Kellin은 LCK 통산 2,500 어시스트(서포터)를 달성했다.
  • 정규시즌 33경기 1세트에서 GEN과 BRO의 경기는 45분 15초로 2023 LCK 서머 최장시간 경기로 기록되었으며, BRO가 패배하고 GEN이 승리했다.
  • 정규시즌 33경기 2세트에서 GEN Chovy는 LCK 통산 10번째 500전 출전(미드)을 달성했다. 같은 경기에서 GEN Doran은 LCK 통산 2,000 어시스트(탑)를 달성했다.
  • 정규시즌 34경기 3세트에서 LSB Clozer는 LCK 통산 500킬(미드)을 달성했다. 같은 경기에서 DRX BeryL은 LCK 통산 12번째 3,000 어시스트(서포터)를 달성했다.
  • 정규시즌 35경기 2세트에서 KT Cuzz는 LCK 통산 23번째 1,000킬(정글)을 달성했다.
  • 정규시즌 37경기 1세트에서 BRO Umti는 318일 만에 스카너를 선택하여 DRX Juhan을 상대로 승리했다. 같은 경기에서 BRO Umti는 LCK 통산 2,000 어시스트(정글)를 달성했다.
  • 정규시즌 37경기 2세트에서 DRX BeryL은 LCK 통산 400전 출전(서포터)을 기록했다.
  • 정규시즌 37경기 3세트에서 BRO과 DRX의 경기는 8킬(8:0)로 2023 LCK 최소 킬 경기로 기록되었으며, DRX가 패배하고 BRO가 승리했다.
  • 정규시즌 38경기 1세트에서 LSB Clozer는 469일 만에 미드 카이사를 선택했으나, KDF Bulldog을 상대로 패배했다.
  • 정규시즌 38경기 2세트에서 LSB와 KDF의 경기는 54킬(25:29)로 2023 LCK 최다 킬 경기로 기록되었으며, LSB가 패배하고 KDF가 승리했다.
  • 정규시즌 39경기 2세트에서 GEN Peanut은 LCK 통산 4번째 600전 출전(정글)을 달성했다.
  • 정규시즌 40경기 1세트에서 T1 Zeus는 LCK 통산 1,000 어시스트(탑)를 달성했다.
  • 정규시즌 41경기 2세트에서 DK ShowMaker는 2023 LCK 서머 세 번째 펜타킬을 트리스타나로 달성했다(미드).
  • 정규시즌 44경기 1세트에서 GEN Peyz는 2023 LCK 서머 네 번째 펜타킬을 카이사로 달성했다(원딜).
  • 정규시즌 45경기 1세트에서 KT Aiming은 LCK 통산 12번째 1,500킬(원딜)을 달성했다.
  • 정규시즌 46경기 2세트에서 DK ShowMaker와 Deft는 각각 LCK 통산 13번째 1,500킬(미드)과 2번째 2,500킬(원딜)을 달성했다.
  • 정규시즌 50경기 1세트에서 HLE Viper와 Zeka는 각각 LCK 통산 24번째 1,000킬(원딜)과 500킬(미드)을 달성했다.
  • 정규시즌 51경기 1세트에서 LSB Willer는 LCK 통산 500 어시스트(정글)를 달성했다. 같은 경기에서 DK Canna는 509일 만에 럼블을 선택하여 LSB Burdol을 상대로 승리했다.
  • 정규시즌 54경기 1세트에서 KDF Bulldog은 1,428일 만에 제라스를 선택했으나, BRO Karis를 상대로 패배했다.
  • 정규시즌 55경기 2세트에서 NS DnDn은 1,940일 만에 트런들을 선택했으나, T1 Zeus를 상대로 패배했다.
  • 정규시즌 56경기 1세트에서 DRX BeryL은 736일 만에 서포터 마오카이를 선택했으나, GEN Delight를 상대로 패배했다.
  • 정규시즌 59경기 2세트에서 DK Canyon은 LCK 통산 13번째 3,000 어시스트(정글)를 달성했다.
  • 정규시즌 60경기 1세트에서 KT Kiin은 LCK 통산 2,500 어시스트(탑)를 달성했다.

12. 2. 챔피언 기록


  • 정규시즌 1경기 2세트에서 KT의 Lehends가 밀리오를 LCK에서 처음으로 사용했으나, HLE Life에게 패배했다.
  • 정규시즌 1경기 2세트에서 KT의 Kiin이 케일을 342일 만에 사용했으나, HLE Kingen에게 패배했다.
  • 정규시즌 8경기 1세트에서 BRO의 Umti가 LCK 통산 400번째 경기에 출전했다. (포지션: 정글)
  • 정규시즌 9경기 1세트에서 DK의 Deft가 LCK 통산 2번째로 700번째 경기에 출전했다. (포지션: 원딜)
  • 정규시즌 9경기 1세트에서 DKDRX의 경기에서 2023 LCK 서머 최단 경기 시간인 21분 44초를 기록했다. (DRX 패, DK 승)
  • 정규시즌 9경기 1세트에서 DK의 Canyon이 정글 사이온을 2,962일 만에 사용했고, DRX Croco를 상대로 승리했다.
  • 정규시즌 9경기 2세트에서 DRX의 Croco가 정글 노틸러스를 2,938일 만에 사용했고, DK Canyon을 상대로 승리했다.
  • 정규시즌 9경기 3세트에서 DK의 ShowMaker가 LCK 통산 2,500 어시스트를 달성했다. (포지션: 미드)
  • 정규시즌 10경기 1세트에서 T1의 Oner가 정글 잭스를 1,058일 만에 사용했으나, GEN의 Peanut에게 패배했다.
  • 정규시즌 10경기 1세트에서 GEN의 Chovy가 미드 니코를 1,058일 만에 사용했고, T1 Faker를 상대로 승리했다.
  • 정규시즌 10경기 3세트에서 GEN의 Peyz가 2023 LCK 서머 첫 번째 펜타킬을 달성했다. (챔피언: 제리, 포지션: 원딜, 상대: T1)
  • 정규시즌 10경기 3세트에서 T1의 Zeus가 LCK 통산 500킬을 달성했다. (포지션: 탑)
  • 정규시즌 12경기 1세트에서 KDF의 Taeyoun이 미스 포츈을 332일 만에 사용했으나, GEN Peyz에게 패배했다.
  • 정규시즌 13경기 2세트에서 T1의 Gumayusi가 닐라를 291일 만에 사용했고, LSB Teddy를 상대로 승리했다.
  • 정규시즌 14경기 1세트에서 DK의 Canna가 LCK 통산 1,500 어시스트를 달성했다. (포지션: 탑)
  • 정규시즌 15경기 3세트에서 NS의 Peter가 서포터 모르가나를 483일 만에 사용했으나, GEN Delight에게 패배했다.
  • 정규시즌 17경기 2세트에서 KDF와 HLE의 경기에서 2023 LCK 서머 최장 경기 시간인 44분 57초를 기록했다. (KDF 패, HLE 승)
  • 정규시즌 20경기 1세트에서 DK의 Canyon이 LCK 정글 니코를 처음으로 사용했고, NS Sylvie를 상대로 승리했다.
  • 정규시즌 31경기 1세트에서 DK의 Canyon이 정글 아이번을 1,230일 만에 사용했고, HLE Grizzly를 상대로 승리했다.
  • 정규시즌 31경기 2세트에서 HLE의 Kingen과 Viper가 각각 LCK 통산 300번째 경기에 출전했다. (Kingen: 탑, Viper: 원딜)
  • 정규시즌 31경기 2세트에서 DK의 Kellin이 LCK 통산 2,500 어시스트를 달성했다. (포지션: 서포터)
  • 정규시즌 33경기 1세트에서 GEN와 BRO의 경기에서 2023 LCK 서머 최장 경기 시간인 45분 15초를 기록했다. (BRO 패, GEN 승)
  • 정규시즌 33경기 2세트에서 GEN의 Chovy가 LCK 통산 10번째로 500번째 경기에 출전했다. (포지션: 미드)
  • 정규시즌 33경기 2세트에서 GEN의 Doran이 LCK 통산 2,000 어시스트를 달성했다. (포지션: 탑)
  • 정규시즌 34경기 3세트에서 LSB의 Clozer가 LCK 통산 500킬을 달성했다. (포지션: 미드)
  • 정규시즌 34경기 3세트에서 DRX의 BeryL이 LCK 통산 12번째로 3,000 어시스트를 달성했다. (포지션: 서포터)
  • 정규시즌 35경기 2세트에서 KT의 Cuzz가 LCK 통산 23번째로 1,000킬을 달성했다. (포지션: 정글)
  • 정규시즌 37경기 1세트에서 BRO의 Umti가 스카너를 318일 만에 사용했고, DRX Juhan을 상대로 승리했다.
  • 정규시즌 37경기 1세트에서 BRO의 Umti가 LCK 통산 2,000 어시스트를 달성했다. (포지션: 정글)
  • 정규시즌 37경기 2세트에서 DRX의 BeryL이 LCK 통산 400번째 경기에 출전했다. (포지션: 서포터)
  • 정규시즌 37경기 3세트에서 BRO와 DRX의 경기에서 2023 LCK 최소 킬 경기인 8킬을 기록했다. (8:0, DRX 패, BRO 승)
  • 정규시즌 38경기 1세트에서 LSB의 Clozer가 미드 카이사를 469일 만에 사용했으나, KDF Bulldog에게 패배했다.
  • 정규시즌 38경기 2세트에서 LSB와 KDF의 경기에서 2023 LCK 최다 킬 경기인 54킬을 기록했다. (25:29, LSB 패, KDF 승)
  • 정규시즌 39경기 2세트에서 GEN의 Peanut이 LCK 통산 4번째로 600번째 경기에 출전했다. (포지션: 정글)
  • 정규시즌 40경기 1세트에서 T1의 Zeus가 LCK 통산 1,000 어시스트를 달성했다. (포지션: 탑)
  • 정규시즌 51경기 1세트에서 LSB의 Willer가 LCK 통산 500 어시스트를 달성했다. (포지션: 정글)
  • 정규시즌 51경기 1세트에서 DK의 Canna가 탑 럼블을 509일 만에 사용했고, LSB Burdol을 상대로 승리했다.
  • 정규시즌 54경기 1세트에서 KDF의 Bulldog이 제라스를 1,428일 만에 사용했으나, BRO Karis에게 패배했다.
  • 정규시즌 55경기 2세트에서 NS의 DnDn이 탑 트런들을 1,940일 만에 사용했으나, T1 Zeus에게 패배했다.
  • 정규시즌 56경기 1세트에서 DRX의 BeryL이 서포터 마오카이를 736일 만에 사용했으나, GEN Delight에게 패배했다.
  • 정규시즌 59경기 2세트에서 DK의 Canyon이 LCK 통산 13번째로 3,000 어시스트를 달성했다. (포지션: 정글)
  • 정규시즌 60경기 1세트에서 KT의 Kiin이 LCK 통산 2,500 어시스트를 달성했다. (포지션: 탑)

12. 3. 기타 기록

2023 LCK 서머에서는 다양한 기록들이 쏟아져 나왔다.

  • 선수 개인 통산 기록
  • T1의 Faker는 LCK 최초로 통산 4,500 어시스트를 달성했다.
  • DK의 Deft는 LCK 통산 2번째로 700전 출전 및 2,500킬을 달성했다.
  • GEN의 Chovy는 LCK 통산 10번째로 500전 출전을 기록했다.
  • KT의 Aiming은 LCK 통산 12번째로 1,500킬을 달성했다.
  • DK의 ShowMaker는 LCK 통산 13번째로 1,500킬을 달성했다.
  • HLE의 Viper는 LCK 통산 24번째로 1,000킬을 달성했다.
  • DRX의 BeryL은 LCK 통산 12번째로 3,000 어시스트를 달성했다.
  • DK의 Canyon은 LCK 통산 13번째로 3,000 어시스트를 달성했다.
  • 그 외에도 DK의 Canna, DK의 Kellin, KT의 Kiin, KT의 Cuzz, NS의 Peter, BRO의 Umti, T1의 Zeus, HLE의 Kingen, HLE의 Zeka, LSB의 Clozer, LSB의 Willer, KT의 Aiming, GEN의 Doran, GEN의 Peanut 등이 킬, 어시스트, 출전 경기 수 등에서 개인 통산 기록을 달성했다.
  • 챔피언 관련 기록
  • 정글 사이온(2,962일), 정글 노틸러스(2,938일), 정글 잭스(1,058일), 미드 니코(1,058일), 정글 아이번(1,230일), 탑 럼블(509일), 제라스(1,428일), 탑 트런들(1,940일) 등이 오랜만에 등장했다.
  • 밀리오, 정글 니코는 LCK에 처음으로 등장했다.
  • 케일(342일), 미스포츈(332일), 닐라(291일), 서포터 모르가나(483일), 미드 이즈리얼(2,680일), 퀸(854일), 원딜 칼리스타(306일), 탑 볼리베어(464일), 렉사이(464일), 스카너(318일), 미드 카이사(469일), 서포터 마오카이(736일)도 다시 등장하여 눈길을 끌었다.
  • 경기 관련 기록
  • 2023 LCK 서머 최단 경기 기록은 21분 44초로, DKDRX의 경기에서 나왔다.(DRX 패)
  • 2023 LCK 서머 최장 경기 기록은 45분 15초로, GEN과 BRO의 경기에서 나왔다.(BRO 패)
  • 2023 LCK 서머 최소 킬 경기는 8킬로, BRO와 DRX의 경기에서 나왔다.(DRX 패)
  • 2023 LCK 서머 최다 킬 경기는 54킬로, LSBKDF의 경기에서 나왔다.(LSB 패)
  • GEN의 Peyz는 2023 LCK 서머에서 두 번의 펜타킬을 달성했다.(제리, 카이사)
  • HLE의 Viper와 DK의 ShowMaker도 각각 한 번씩 펜타킬을 달성했다.(제리,트리스티나)

13. POG 순위

13. 1. Player of the Split

wikitable

순위이름소속 팀포지션누적 점수
1김건부DK정글1000P
2김수환GEN원딜700P
2김건우HLE미드700P
2정지훈GEN미드700P
2곽보성KT미드700P


13. 2. OP.GG Player of the Week

wikitable

주차이름소속 팀포지션
1주차PeyzGEN원딜
2주차CuzzKT정글
3주차KiinKT
4주차PeyzGEN원딜
5주차CanyonDK정글
6주차PeanutGEN정글


13. 3. Best Ceremony of the Week

wikitable

Best Ceremony of the Week
주차이름소속 팀포지션
1주차DRXDRX
2주차GumayusiT1원딜
3주차ViperHLE원딜
4주차RascalDRX
5주차DoranGEN
6주차LehendsKT서포터


참조

[1] 기타 2023 LCK 스프링 우승
[2] 기타 2023 LCK 스프링 준우승
[3] 기타 브리온에서 OK저축은행 브리온으로 팀명 변경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